• 로그인
  • 회원가입
10분후 로그인 세션이 만료되어 로그아웃 예정입니다.
로그인 연장을 원하시면 확인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확인
세션이 종료되어 로그아웃 되었습니다.
확인
한국발전인재개발원 로고 한국발전인재개발원 로고
  • 홈
  • 인재원소개
    • 원장 인사말
    • 주요연혁
    • 가치체계/경영방침
    • 조직도
      • 조직도
    • 인재원 소식
      • 부서업무
    • 교육시설 소개
    • 홍보동영상
    • 홍보매거진
    • 오시는 길
  • 집합교육
    • 집합교육수강신청
      • 교육신청(집합)
    • 혼합교육수강신청
      • 교육신청(혼합)
    • 교육안내
    • 환급신청방법
    • 학습로드맵추천
  • 이러닝교육
    • 이러닝수강신청
      • 교육신청(이러닝)
    • 학습방법
  • 학습지원센터
    • 교육공지
    • 자주하는 질문
    • 1:1 질문
    • 학습담당 연락처
    • 신문고
  • 마이페이지
    • 나의홈
    • 나의 강의실
      • 교육중과정
      • 교육전과정
      • 교육종료과정
    • 마이크로러닝
    • 수료증출력
    • 발전인재교육현황
    • 나의학습로드맵
    • 나의결제내역
    • 개인정보수정
한국발전인재개발원 로고 한국발전인재개발원 로고 한국발전인재개발원 로고
  • 로그인
  • 회원가입
  • 홈
  • 인재원소개
    • 원장 인사말
    • 주요연혁
    • 가치체계/경영방침
    • 조직도
      • 조직도
    • 인재원 소식
      • 부서업무
    • 교육시설 소개
    • 홍보동영상
    • 홍보매거진
    • 오시는 길
  • 집합교육
    • 집합교육수강신청
      • 교육신청(집합)
    • 혼합교육수강신청
      • 교육신청(혼합)
    • 교육안내
    • 환급신청방법
    • 학습로드맵추천
  • 이러닝교육
    • 이러닝수강신청
      • 교육신청(이러닝)
    • 학습방법
  • 학습지원센터
    • 교육공지
    • 자주하는 질문
    • 1:1 질문
    • 학습담당 연락처
    • 신문고
  • 마이페이지
    • 나의홈
    • 나의 강의실
      • 교육중과정
      • 교육전과정
      • 교육종료과정
    • 마이크로러닝
    • 수료증출력
    • 발전인재교육현황
    • 나의학습로드맵
    • 나의결제내역
    • 개인정보수정
한국발전인재개발원 로고
출석체크
입실
퇴실
중간
출석체크
QR코드 스캔
화면에 맞춰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
입실은 이미 처리되었습니다.
신청하신 과정이 아닙니다
출석체크
출석체크 완료 아이콘
출석체크가 완료되었습니다!
항목
입실
체크시간
2021.02.25 08:55
확인
학습지원센터
  • 홈
  • 인재원소개
    • 원장 인사말
    • 주요연혁
    • 가치체계/경영방침
    • 조직도
    • 인재원 소식
    • 교육시설 소개
    • 홍보동영상
    • 홍보매거진
    • 오시는 길
  • 집합교육
    • 집합교육수강신청
    • 혼합교육수강신청
    • 교육안내
    • 환급신청방법
    • 학습로드맵추천
  • 이러닝교육
    • 이러닝수강신청
    • 학습방법
  • 학습지원센터
    • 교육공지
    • 자주하는 질문
    • 1:1 질문
    • 학습담당 연락처
    • 신문고
  • 마이페이지
    • 나의홈
    • 나의 강의실
    • 마이크로러닝
    • 수료증출력
    • 발전인재교육현황
    • 나의학습로드맵
    • 나의결제내역
    • 개인정보수정
연간교육일정
교육입교안내
교육신청
고용보험금안내
교육소개
교육훈련체계
교육과정별 소개
사원사과정
비사원사과정
위탁운영과정
사원사과정
분야
전기분야
제어분야
기계분야
운영분야
화학분야
기타분야
신재생
에너지분야
공통(신입)
초급(1년차)
중급(2년차이상)
중급(3년차이상)
고급(5년차이상)
신입발전기초
발전기전기설비기초
전력공학
전기설비실무
전기정비감독자
보호계전기기초
전기설비실무
보호계전기고급
차단기/비상전원기술
전동기/발전기기술
전기설비예측진단
신입발전기초
용계측제어기초
계측제어
제어실무
제어루프튜닝일반
보일러터빈제어
분신제어기술
Mark-VI 기술
신입발전기초
보일러,보조기기기초
터빈,보조기기기초
열역학
복합화력기초
기계정비감독자
증기터빈실무
용접/비파괴기술용접/비파괴기술
가스터빈실무
진동실무
밸브/유압기술
펌프/측정렬기술
배관기술
보일러기술
유동층보일러
화력발전실무
증기터빈실무
예측진단기술
신입발전기초
복합화력운전실무
보일러운전실무
복합화력운전실무
모의복합화력운전실무
복합화력성능실무
보일러운전실무
증기터빈운전실무
화력효율실무
화력발전성능실무
복합화력시운전
복합화력성능실무
화력효율실무
신입발전기초
발전화학분야이해
환경관리실무
발전용수처리실무
환경대기실무
화학세정실무
연료관리실무
탈황설비실무
환경수질실무
연소관리실무
온실가스배출량산정및배출권거래실무
화학물질안전관리자실무
신입발전기초
발전분야이해
공사설계입문
4차산업혁명입문
발전분야이해
산업안전기사(필기)
산업안전기사(실기)
건설관리실무
건설기계실무
재난안전실무자전문
터빈보일러제작사
재난안전관리자전문
신입발전기초
신재생에너지기초1
신재생에너지기초2
신재생에너지기술
태양광실무(통합)
풍력실무(통합)
연료전지실무(통합)
태양광발전설계(통합)
태양광발전운영(통합)
비사원사과정
분야
전기분야
제어분야
기계분야
운영분야
화학분야
공통(신입)
초급(1년차)
중급(2년차이상)
중급(3년차이상)
고급(5년차이상)
신입발전기초
발전기전기설비기초
전력공학
전기설비실무
전기정비감독자
보호계전기기초
전기설비실무
보호계전기고급
신입발전기초
계측제어기초
계측제어
제어실무
제어루프튜닝일반
보일러터빈제어
분신제어기술
Mark-VI 기술
신입발전기초
복합화력기초
보일러,보조기기기초
터빈,보조기기기초
열역학
복합화력기초
기계정비감독자
증기터빈실무
배관기술
복합화력실무
가스터빈실무
진동감시실무
밸브/유압기술
펌프/측정렬기술
보일러기술
유동층보일러
화력발전실무
신입발전기초
발전분야이해
복합화력운전실무
도서내연발전설비운영
복합화력운전시운전
발전분야이해
복합화력운전실무
보일러운전실무
모의복합화력운전
복합화력성능실무
보일러운전실무
증기터빈운전실무
화력발전성능실무
복합화력시운전
산업안전전문
발전해외플랜트 O&M
복합화력성능실무
화력효율실무
신입발전기초
발전분야이해
발전화학분야이해
발전용수처리실무
탈황설비실무
연소관리실무
위탁운영과정
분야
전기자격분야
기계자격분야
3급(1년차이상)
2급(2년차이상)
1급(5년차이상)
발전정비사(전기)3급과정
발전정비사(발전기)2급과정
발전정비사(변압기)2급과정
발전정비사(전동기)2급과정
발전정비사(차단기)2급과정
발전정비사(보호계전기)2급과정
발전정비사(발전기)1급과정
발전정비사(변압기)1급과정
발전정비사(전동기)1급과정
발전정비사(차단기)1급과정
발전정비사(보호계전기)1급과정
발전정비사(기계)3급과정
발전정비사(보일러)2급과정
발전정비사(용접)2급과정
발전정비사(터빈)2급과정
발전정비사(팬)2급과정
발전정비사(펌프)2급과정
발전정비사(밸브)2급과정
발전정비사(가스터빈)2급과정
발전정비사(예측진단)2급과정
발전정비사(보일러)1급과정
발전정비사(용접)1급과정
발전정비사(터빈)1급과정
발전정비사(팬)1급과정
발전정비사(펌프)1급과정
발전정비사(밸브)1급과정
기초과정
개발과정
정비사과정
산학협동과정
기초과정
발전분야의 기초가 되는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으로 주로 신입사원과 발전관련 유관 업계 등의 교육생들을 위하여 복합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특히 실물을 축소한 정밀한 주요 설비 모형과 최신 실습장비 등을 이용하여 발전운전과 운영에 대한 기초지식을 충분히 습득할 수 있도록 세심한 배려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교육과정 및 대상(기간)
  • 발전기초과정(수탁) : 전력관련사 및 타사 발전분야 근무 직원(3주)
  • 발전기초입문과정(수탁) : 비발전직군(사무, 통신 및 토건 등) 직원 및 간부(1주)
  • 발전분야이해과정(수탁) : 발전 및 환경화학 직군을 제외한 직원
  • 발전화학분야이해과정(수탁) : 비사원사의 화학 및 환경 관련업무 담당자 (4일)
  • 복합화력기초과정(수탁) : 전력관련사 및 타사 복합발전분야 근무 직원(2주)
발전정비사 교육과정 관련 실습장비
  • 아임계압 드럼형 보일러설비
  • 초임계압 관류형 보일러설비
  • 유동층 보일러설비
  • 미분탄 연소용 버너
  • 가스터빈
  • 고압 급수가열기
  • 증기터빈/발전기
  • 보일러 드럼
  • 500MW급 표준석탄화력 터빈건물
  • 축류형 통풍기
  • 원심형 통풍기
  • Bowl형 미분기
  • 탈황설비 흡수탑
Bowl형 미분기
Bowl형 미분기
탈황설비 흡수탑
탈황설비 흡수탑
초임계압 관류형 보일러설비
초임계압 관류형 보일러설비
가스터빈
가스터빈
교육원 1층에 마련된 발전 모형설비들
교육원 1층에 마련된 발전 모형설비들
개발과정
발전운영 분야
발전소의 핵심이 되는 운영 및 운전 실무자들을 위한 교육과정으로서 철저한 실무중심의 교육과 실습 위주의 진행으로 개인별 능력향상을 최대한 시키는데 초점을 둡니다. 각 분야별 전문 전담교수의 일대일 또는 그룹별 스터디 교육과 팀별 토의를 통하여 발전운영 및 운전능력 향상을 도모합니다.
교육과정 및 대상(기간)
공통분야 실무과정
  • 도서내연발전설비운영과정(수탁) : 도서내연 발전설비 운영요원(2주)
  • 모의복합화력운전과정(수탁) : 비사원사 복합화력 근무 직원 및 복합화력원전 관심 직원(4일)
  • 복합화력실무과정(수탁) : 전력관련사 복합화력발전소 근무자 또는 해당과정에 관심 있는 직원(2주)
  • 복합화력운전실무과정(수탁) : 복합화력발전소에 관심이 있는 전력 관련사 직원(1주)
  • 전기설비실무과정(수탁) : 비사원사 발전 운전 및 전기분야 직원(1주)
  • 전기집진기운용과정(수탁) : 전력산업관련사 근무직원(4일)
  • 진동감시실무과정(수탁) : 사원사 중 DM2000 및 SYSTEM-1 보유 발전소 근무 직원(4일)
  • 화력발전실무과정(수탁) : 전력관련사 및 발전분야 근무직원(2주)
  • 유동층보일러과정(수탁) : 유동층 타입 발전소 근무 직원 및 교육희망자(3일)
발전 효율 및 성능 실무과정
  • 복합화력성능실무과정(수탁/통합) : 열효율업무 관련자 및 관심있는 직원(3일)
  • 화력효율실무과정(수탁) : 화력발전소 효율원, 운전원, 설계원으로 근무하는 직원(4일)
시운전과정
  • 복합화력시운전과정(수탁) : 복합화력발전소 시운전에 관심이 있는 전력 관련사 직원(1주)
  • 석탄화력시원전과정(수탁) : 석탄화력발전소 시원전에 관심이 있는 전력 관련사 직원(1주)
기계정비분야
발전소를 이루는 수백만개의 부품은 유기적으로 운영되어야 합니다. 특히 기계분야에서는 작은 오차도 허용치 않는 정밀함이 발전정비의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 한국발전교육원은 최신의 실습설비와 현장경험이 풍부한 교수진으로 기계분야의 교육에 임하고 있습니다.
교육과정 및 대상(기간)
  • 배관기술과정(수탁) : 비사원사 기계정비 관리부서원 및 관심있는 직원(4일)
  • 보일러기술과정(수탁/통합) : 기계정비 관리부서원 및 관심있는 직원(1주)
  • 펌프/축정렬기술과정(수탁) : 기계정비 관리부서원 및 관심있는 직원(4일)
주요 실습설비와 교육내용 소개
진동감시/분석장치
  • 진동측정원리 및 진동감시 시스템 운용 학습
  • 진동감시 시스템(DM2000)운용 LAN 이용 진동 원격감시 분석
  • Rotor Kit 이용 진동교정 실습
축정렬실습장치
  • 회전축정렬 Kit 이용, 축 Misalignment 상태 측정
  • 다이얼게이지/레이져 축정렬 실습
비파괴실습장치
  • 모형시편 이용 UT, MT, PT 등 비파괴 검사 실습
  • RT Film 판독 실습
유압 실습장치
  • 유압투명모델로 제작된 각종 유압기구를 동작시켜 기구의 구조, 동작상태 및 유압의 흐름, 상태확인 실습
발전기계 전시실
  • 각종 발전소 부속기기 실물 실습
  • 각종 발전소 부속기기 절개모형 실습
전기정비분야
발전소의 주요 기기는 전기적 에너지로 구동되고 동작합니다. 전기를 만드는 기술뿐만이 아니라 전기를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발전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교육합니다.
교육과정 및 대상(기간)
  • 보호계전기기초과정(수탁/통합) : 비사원사 전기분야 담당 및 관심 직원(3일)
  • 보호계전기고급과정(수탁) : 비사원사 전기분야 담당 및 관심 직원(4일)
주요 실습설비와 교육내용 소개
절연진단장치
  • 절연진단 및 절연파괴 시기 예측, 절연 및 권선저항 측정, PI Test
아날로그식 계전기 시험장치
  • 보호계전기 동작특성 시험 및 정정실습
  • 다이얼게이지/레이져 축정렬 실습
디지털식 계전기 시험장치
  • 모형시편 이용 UT, MT, PT 등 비파괴 검사 실습
  • RT Film 판독 실습
MOV(전동기 구동밸브) 실습장치
  • 전동밸브 조작, 동작상태 확인 및 조정실습
  • 엑튜에이터 구조이해
전기기기 특성 시험장치
  • 직류전동기 Torque 특성시험 직류발전기, 유도전동기, 동기전동기 특성시험
Excitation Training Equipment
  • 발전기 여자기 개념이해
  • 무효전력출력변동 실습
계측제어정비분야
발전설비는 정밀한 계측장치들에 의해 운영됩니다. 이러한 계측장치들의 원활한 운영과 관리를 통하여 발전설비의 운전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기기의 사고와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교육합니다.
교육과정 및 대상(기간)
  • 계측제어과정(수탁) : 계측제어부서 근무직원과 계측제어분야 관심 직원(1주)
  • 분산제어기술과정(수탁/통합) : 계측제어 관련 근무직원 및 관심 직원(4일)
  • 제어루프튜닝기술과정(수탁/통합) : 계측제어분야 근무자 및 발전소 중앙제어실 운전원(4일)
  • Hi-corder운용과정(수탁/통합) : 계측제어분야 및 전기분야 근무직원(3일)
  • Mark-VI기술과정(수탁) : Mark-VI 운영 및 담당 직원(4일)
  • PLC운용과정(수탁/통합) : 전기 및 계측제어분야 근무직원(1주)
주요 실습설비와 교육내용 소개
현장 자동제어 실습장치
  • 압력계, 열전대, 조절기, 센서 및 전송기 교정실습
  • 온도, 압력, 유량, 수위 등의 제어루프 구성 및 PID 제어기 Tuning 실습
분산제어설비
  • 분산제어설비의 제어회로 구성방법 및 요소실습
  • CAD, EWS, OIS운용 실습
  • Analog & Digital Control Station 작동 시험
PLC 실습장치
  • PLC의 하드웨어 및 로직 제어회로 구성 실습
  • 프로그래밍 실습
  • 이중화 시험
Memory Hi-corder
  • 발전소 전기제어설비에 사용되는 각종 전기적 신호측정, 저장, 분석기법 실습
Mark-VI시뮬레이터
  • Mark-VI 운용 및 Toolbox, Graphic 구성법 실습
DC Combo LAB Computer
  • 제어루프튜닝 기본개념 및 PID 튜닝 실습
환경화학분야
환경화학분야는 기업의 사회적 책무와 발전소 수명관리의 핵심입니다. 특히 발전소 최적운영과 수명관리를 위해 필요한 용수처리 및 연소관리와 함께 탈황·탈질·폐수처리설비 등을 통하여 환경 친화적 발전설비 운영을 모색하는 과정으로 화학, 연소, 환경분야에 대한 현장실무교육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교육과정 및 대상(기간)
  • 발전용수처리실무과정(수탁) : 수처리설비 운전 및 계통수 수질관리업무 담당자(1주)
  • 온실가스에너지목표관리제실무과정(수탁/통합) : 에너지목표관리제 및 배출권 거래제 업무담당자 및 관심 직원(1주)
  • 탈황설비실무과정(수탁/통합) : 배연탈황설비 관련업무 담당 및 관심직원(1주)
주요 실습설비와 교육내용 소개
원자 흡광 광도계(AA)
  • 보일러 계통수의 농도 분석 실습
  • 화학세정시기 결정 및 스케일 성상 분석 실습
  • 슬러시 및 금속 성분분석 수질관리 및 적절성 판단 학습
이온크로마토그래피(IC)
  • 보일러 계통수의 양이온 및 음이온 농도 분석 실습
  • 보일러CBD 개방시점 파악 수처리설비 성능 진단 학습
  • 폐수중 미량 오염물질 분석 실습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
  • 기쳬연료 성분분석 실습
  • 수소가스 등 가스류 순도분석 실습
  • 절연유 중 용존가스 분석 및 내부고장 원인 진단 학습
환경화학 실습실
  • 보일러 계통수 수질 분석(PH 전도도 등)
  • 발전 연료 분석(발열량, 공업분석 등)
발전정비사 분야
발전회사 및 관련 민간정비회사 업무 종사자들의 업무능력 배양과 정비에 대한 분야별 전문지식 습득을 목적으로 다양한 정비사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전문가들은 더 나은 지식들을 습득하고 나아가 분야별 자격취득도 가능토록 실무와 이론을 겸비해 교육과정을 진행합니다.
교육과정 및 대상(기간)
  • 발전정비사(발전기)1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2급과정(발전기) 취득 후 3년 경과자(1주)
  • 발전정비사(변압기)1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2급과정(변압기) 취득 후 3년 경과자(1주)
  • 발전정비사(전동기)1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2급과정(전동기) 취득 후 3년 경과자(1주)
  • 발전정비사(보호계전기)1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2급과정(보호계전기) 취득 후 3년 경과자(1주)
  • 발전정비사(차단기)1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2급과정(차단기) 취득 후 3년 경과자(1주)
  • 발전정비사(보일러)1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2급과정(보일러) 취득 후 3년 경과자(1주)
  • 발전정비사(용접)1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2급과정(용접) 취득 후 3년 경과자(1주)
  • 발전정비사(팬)1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2급과정(팬) 취득 후 3년 경과자(1주)
  • 발전정비사(터빈)1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2급과정(터빈) 취득 후 3년 경과자(1주)
  • 발전정비사(펌프)1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2급과정(펌프) 취득 후 3년 경과자(1주)
  • 발전정비사(밸브)1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2급과정(밸브) 취득 후 3년 경과자(1주)
  • 발전정비사(발전기)2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3급과정(발전기) 취득 후 2년 경과자 또는 입사후 5년 이상(1주)
  • 발전정비사(밸브)2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3급과정(밸브) 취득 후 2년 경과자 또는 입사후 5년 이상(1주)
  • 발전정비사(변압기)2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3급과정(변압기) 취득 후 2년 경과자 또는 입사후 5년 이상(1주)
  • 발전정비사(보일러)2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3급과정(보일러) 취득 후 2년 경과자 또는 입사후 5년 이상(1주)
  • 발전정비사(보호계전기)2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3급과정(보호계전기) 취득 후 2년 경과자 또는 입사후 5년 이상(1주)
  • 발전정비사(용접)2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3급과정(용접) 취득 후 2년 경과자 또는 입사후 5년 이상(1주)
  • 발전정비사(전동기)2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3급과정(전동기) 취득 후 2년 경과자 또는 입사후 5년 이상(1주)
  • 발전정비사(차단기)2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3급과정(차단기) 취득 후 2년 경과자 또는 입사후 5년 이상(1주)
  • 발전정비사(터빈)2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3급과정(터빈) 취득 후 2년 경과자 또는 입사후 5년 이상(1주)
  • 발전정비사(팬)2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3급과정(팬) 취득 후 2년 경과자 또는 입사후 5년 이상(1주)
  • 발전정비사(펌프)2급과정(수탁) : 발전정비사 3급과정(펌프) 취득 후 2년 경과자 또는 입사후 5년 이상(1주)
  • 발전정비사(기계)3급과정(수탁) : 발전소 민간 정비업체 기술인력(2주)
  • 발전정비사(전기)3급과정(수탁) : 발전소 민간 정비업체 기술인력(2주)
정비사과정
발전회사 및 관련 민간정비회사 업무 종사자들의 업무능력 배양과 정비에 대한 분야별 전문지식 습득을 목적으로 다양한 정비사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전문가들은 더 나은 지식들을 습득하고 나아가 분야별 자격취득도 가능토록 실무와 이론을 겸비해 교육과정을 진행합니다.
자격등급 교육과정 및 검정과목 교육기간 자격검정시행 형태 비고
기계분야 전기분야
1급 터빈, 보일러, 펌프, 용접, 팬, 밸브, 가스터빈 발전기, 전동기, 차단기, 변압기, 보호계전기 1주 서술형 10문제 선택(12문제 중)
[서술형 10]
노동부 환급과정
2급 터빈, 보일러, 펌프, 용접, 팬, 밸브, 가스터빈, 예측진단 발전기, 전동기, 차단기, 변압기, 보호계전기 주·객관식 혼용 60문항
[객관식 44+단답형 12+서술형 4]
3급 기계분야
전기분야
2주 주·객관식 혼용 100문항
[객관식 80 + 단답식 20]
교육대상자
  • 정비기술 습득을 원하는 발전회사 및 민간정비회사 직원
  • 발전정비사 자격취득(1,2,3급)은 사업내자격검사업 협약기업만 가능
    • 별도 자격검정 시행
발전정비인력 양성사업 개요
사업 목적
발전정비산업의 경쟁도입에 대비하여 숙련된 민간기업 정비전문인력 양성
사업 현황
2011년부터 시작되어 발전 5사 및 19개의 민간발전정비기업 참여
  • 발전 5사에서 자격검정 취득관련 비용 지원(응시료 무료)
주간기관 및 참여기관
구분 기업명
주관기관
(총 7개)
한국남동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한국서부발전(주), 한국남부발전(주), 한국동서발전(주), (사)한국발전인재개발원, (사)한국발전정비협회
참여기관
(총 19개)
한전산업개발(주), (주)금화PSC, 일진파워(주), (주)수산인더스트리, 한국플랜트서비스(주), 원프랜트(주), 옵티멀에너지서비스(주) 상공에너지(주), KPOES(주), KLES(주), (주)천우, ㈜엔에스컴퍼니, (주)엔에스시스템, 영진(주), (주)건영, (주)에이치케이씨, (주)동림산업, (주)신동아전력, (주)신흥기공
비고 협약체결 기업 소속 근로자 외 개인 또는 기업체 재직자 교육참여 희망시 교육신청 가능하나 자격시험 응시자격은 미부여
자격검정 종목 및 응시분야
자격종목
분야 종목 내용
1,2급
  • 기계 8종목 - 보일러, 터빈, 밸브, 펌프, 팬, 용접, 가스터빈, 예측진단
  • 전기 5종목 - 발전기, 변압기, 전동기, 보호계전기, 차단기
각 종목 및 단계별 전문지식을 필요로 함
3급
  • 2종목 - 기계, 전기
발전설비 전반적인 내용
자격검정 분야
등급 검정 분야 및 영역 검정시행 형태 주요 내용
1급 검정 · 정비 · 조립 · 시운전(심화) 서술형 10문제 선택
(12문제 중)
문제점 원인분석 및 조치 등
운전중 점검(심화) 누설, 손상, 과열 등
정비 이론(고급) 터빈, 발전기, 밸브, 차단기 등
2급 공통 주 · 객관식 혼용 60문항
(주관식 : 단답형 + 서술형)
발전계통 일반
검정 · 정비 · 조립 · 시운전(일반) 문제점 원인분석 및 조치 등
운전중 점검(일반) 누설, 손상, 과열 등
정비 이론(중급) 터빈, 발전기, 밸브, 차단기 등
3급 공통 주 · 객관식 혼용 100문항
(주관식 : 단답형)
발전계통 일반
정비 이론(초급)) 터빈, 발전기, 밸브, 차단기 등
자격검정 응시자격 및 합격기준
응시자격
등급 응시자격
1급 발전정비사 1급 교육과정 이수자로서 2급 자격취득 후 3년을 경과하고 해당기간 내 계획예방정비(Overhaul) 2회 이상 및 1급자격 취득분야 회사별 자체교육 실적이 있는 자
단, 발전정비사 1급 교육과정 이수자로서 정비경력(1급 응시과목 직무)이 8년 이상일 경우 2급 취득 1년 후 1급 응시 가능
2급 발전정비사 2급 교육과정 이수자로서 3급 자격취득 후 2년을 경과하고 해당기간 내 계획예방정비(Overhaul) 1회 이상 및 2급자격 취득분야 회사별 자체교육 실적이 있는 자
단, 발전정비사 2급 교육과정 이수자로서 정비경력(2급 응시과목 직무)이 5년 이상일 경우 3급 취득 1년 후 2급 응시 가능
3급 발전정비사 3급 교육과정 이수자로서 국가기술자격증에 따라 입사 후 근속기간을 차등적용하고, 3급 교육과정 관련 회사별 자체교육, 계획예방정비 또는 경상정비실적 있는 자
  • 국가기술자격(기계, 금속, 전기, 전자) 산업기사 이상 소지자 : 근속기간 무관
  • 국가기술자격(기계, 금속, 전기, 전자) 기능사 소지자 : 입사 후 1년 6개월 이상
  • 국가기술자격증 미소지자 : 입사 후 2년 이상
자격검정 합격결정 기준
  • 필기시험은 100점 만점 기준에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인 자
  • 필기시험 합격자는 자격인정 서류(자격심사 및 인정기록서, 한국발전교육원 해당 교육과정 수료증 사본, 기술자격증 및 신분증 사본, 재직증명서, 경력증명서 또는 경력확인서, 회사별 자체교육 실적)를 지정 기일내에 한국발전교육원에 제출
  • 자격인정 서류 심사 결과 이상 없이 통과된 자를 최종합격자로 결정
사업 참여 절차
발전정비사 자격증 취득자는 발전사 경상정비 입찰 시 국가자격증과 동일한 자격으로 인정
고용보험 환급절차
  • 교육비 전액 납부 후 교육 수료자에 한해 환급되며, 교육훈련 위탁계약서 기재된 비용 수급 사업장의 법인통장으로 입금(교육비 납부시 회사명으로 입금 필요)
    (단, 고용보험 체납사업장 및 고용보험환급금 소진 사업장 제외)
  • 환급시기 : 과정종료 후 10주 이내 교과목별 환급 (위 사항은 교육비 납입여부에 따라 지연될 수 있음)
발전정비사 교육과정 관련 실습장비
증기터빈
증기터빈
유압 실습장치
유압 실습장치
기계 실습실
기계 실습실
다단원심 펌프
다단원심 펌프
축류 송풍기
축류 송풍기
아날로그식 계전기 시험기
아날로그식 계전기 시험기
절연 진단장치
절연 진단장치
차단기
차단기
디지털 계전기 시험기
디지털 계전기 시험기
전자기기 특성 시험장치
전자기기 특성 시험장치
발전정비사 사업내 자격검정사업 관련 문의
한국발전인재개발원 미래사업실 신성장파트 041-671-4711, 4713
발전정비사 자격검정 시스템 홈페이지 http://lc.kiphrd.co.kr
산학협동과정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대학 등 발전산업 관련 학생을 대상으로 전력생산기초 종합교육을 통하여 향후 산업계 수요에 부응하고 국가 에너지사업 예비인력을 체계적 발굴 ‧ 육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으로 산학협동 기초과정, 산학협동 고급과정, 발전분야 산학협동과정을 운영합니다.
교육과정 및 대상(기간)
  • 산학협동 기초과정(수탁) :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1,2학년 학생(3일, 18시간)
  • 산학협동 고급과정(수탁) :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2,3학년 학생(3일, 18시간)
  • 발전분야 산학협동과정(수탁) : 대학교
주요 실습설비와 교육내용 소개
산학협동기초과정
(마이스터고/특성화고)
산학협동고급과정
(마이스터고/특성화고)
발전분야산학협동과정
(대학교)
발전일반 발전원별 개요 및 특성 보일러 보일러 개요, 특징 보일러 보일러 개요, 특징
기계설비 보일러 및 보조기기, 터빈 및 보조기기 터빈 터빈분류, 터빈구조 터빈 터빈분류, 터빈구조
전기설비 전기기초이론, 발전기 및 전기설비 발전기 전기이론, 발전기개요 및 구조, 보조 및 부속설비 주문과정으로 과목 협의 및
추가개설 가능
제어설비 제어기초이론, 발전소 제어방식 전기설비 변압기, 전원설비
환경관리 발전소 환경관리 및 화학처리 화학처리 발전소 배수 및 용수처리
실습 발전설비 모형실습 계측제어 온도, 유량, 압력측정
신재생 신재생에너지 이론 실습 발전설비 모형실습
발전산업 이해 국내‧외 전력시장 개요
신재생 신재생에너지 이론
한국발전인재개발원 로고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찾아오시는길
  • 발전운영활성화커뮤니티
  • 사업자등록번호 : 316-82-00352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21-대전서구-0600호
    대표전화 : 042-281-4000
  • 주소 : 대전광역시 서구 구봉산북로 94번길 77(우 35377) 한국발전인재개발원
  • 상호 : 한국발전인재개발원 대표자 : 김우곤
COPYRIGHT (C) 2021 KOREA INSTITUTE OF POWER HUMAN RESOURCE DEVELOPMENT. ALL RIGHT RESERVED
MOVE TO TOP